
연하곤란이란
- HOME
- 연하곤란&점도증진제
- 연하곤란
- 연하곤란이란
연하곤란
우리는 식사를 할 때, 음식을 보고 입에 넣으며, 씹어서 삼키기 쉽게 만들어 위로 보냅니다. 이 중에서 “삼켜서 위로 보낸다”는 동작을 연하라고 합니다.
연하 메커니즘
구강 준비단계 |
구강단계 |
인두단계 |
식도단계 |
---|
 |
 |
 |
 |
음식을 보고 인식하면, 타액이나 위액이 분비되며, 먹기 위한 신체적 준비가 시작됩니다. |
입에 들어간 음식은 씹으면서 타액과 섞이며, 삼키기 쉬운 형태가 됩니다. |
삼키기 쉬운 형태로 된 음식의 덩어리가 목 안쪽으로 보내집니다. |
뇌에 신호가 보내져 반사적으로 음식
덩어리를 꿀꺽 삼킵니다. 이 때, 음식의
역류나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복잡한
메커니즘이 작용하며, 식도를 통해
위로 보내집니다. |
- 연하곤란이란 음식물이 구강에서 식도를 통해 위장관내로 이동하는 정상적인 과정에 문제가 있어, 음식을 제대로 삼키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.
- 연하곤란의 원인은 다양하나 주로 뇌졸중, 근육병, 알츠하이머,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계 질환에 의해서 흔히 발생되며, 또는 구강이나 식도 부위의 암이나
폐색과 같은 구조적 이상에 의해 발생되기도 합니다.
연하곤란을 예측할 수 있는 증상
연하곤란 발생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들은 식사 시에 주의 깊은 관찰이 요구되고, 식사 시에 다음의 증상이 관찰 된다면 연하곤란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
연하곤란으로 인한 문제점과 흡인성 폐렴
탈수나 영양 불량으로 연결되는 연하곤란
식사 중 음식을 제대로 삼키지 못하는 상태를 “연하곤란”이라고 합니다.
방치해 두면 음식이나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해,
탈수나 영양불량으로 이어지게 됩니다.
* 흡인(Aspiration)이란?
흡인은 음식물이나 액체가 기도(숨길)로 들어가 발작적인 기침을 하는 것으로
기도 손상과 흡인성 폐렴을 포함해 일련의 호흡기 장애가 발생할 위험을 증가시킵니다.
*참고문헌 : Palmer JB, American Family Physician 61: 2453-62, 2000